서론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정의뜻입니다. 일상생활이나 토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지만, 막상 ‘정의’가 무엇인지 물어보면 쉽게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철학, 법률, 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기 다른 맥락으로 사용되기 때문이죠. 최근 사회·정치 이슈에서도 정의가 화두가 되며 의미가 더 복잡해졌습니다. 그럼 우선 정의뜻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래
‘정의(正義)’는 한자로 ‘바를 정(正)’과 ‘옳을 의(義)’를 합친 말로, 진리에 맞는 올바른 도리를 뜻합니다. 서양어 Justice가 번역‧수용되면서 동양 전통 개념과 결합해 현대적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를 ‘평균적‧일반적‧배분적 정의’로 나눴고, 로마법 울피아누스는 ‘각자에게 그의 몫을’ 원칙으로 정의했습니다. 이러한 전통이 오늘날 평등·형평 개념과 이어지며 현대 사회 정의론의 토대가 됩니다.
뜻
사전적 정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도덕·사회적 정의: 사회 구성원이 공정하고 올바른 상태를 추구해야 한다는 가치. 법·윤리의 핵심 이념으로 평등 실현에 초점을 둡니다.
- 논리적 정의(Definition): 어떤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규정하는 절차. 개념의 최근류와 종차를 밝혀 혼동을 막습니다.
- 사전적 정의: ‘어떤 말이나 사물의 뜻을 명백히 밝혀 규정함’ 자체를 의미합니다. 국어사전·백과사전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해석 예시
- 정치 토론에서 “그 결정은 정의롭지 않다”는 발언은 도덕·사회적 정의 관점의 비판입니다.
- “삼각형은 세 변으로 둘러싸인 도형이다”는 논리적 정의 예시입니다.
- 국어사전의 ‘사과: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의 열매’는 사전적 정의입니다.
QnA
정의는 선과 같은 뜻인가?
반드시 그렇지 않습니다. 정의는 선·악을 모두 포괄하며, 각자에게 정당한 몫을 돌려주는 상태를 말합니다.
Justice와 Definition이 모두 ‘정의’로 번역되는 이유?
두 영어 단어가 각각 ‘사회적 정의’와 ‘정의(定義)하다’ 의미로 들어오며 한글 표기는 같지만 맥락이 다릅니다.
배분적 정의란?
능력·기여도에 따라 차등 분배를 정당화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 유형입니다.
평균적 정의 예시?
손해배상에서 가해자와 피해자가 동등하게 보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원칙이 해당됩니다.
정의와 형평 차이?
정의는 원칙적 공평, 형평은 개별 상황의 공정성을 강조합니다.
사전적 정의가 중요한 이유?
개념을 명확히 해 논쟁의 혼란을 줄이고, 학문 연구의 출발점을 제공합니다.
순환정의를 피해야 하는 이유?
자기 자신으로 설명하면 의미가 확정되지 않아 논리적 오류가 발생합니다.
정의로운 사회란?
불합리한 차별이 없고, 구성원이 공정한 기회를 갖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의 실현 방법?
법치 강화, 기회의 평등, 투명한 절차 등이 필요합니다.
개념·의미·의의 차이?
정의는 ‘뜻을 정함’, 개념은 ‘그 뜻으로 형성된 사고’, 의미·의의는 ‘가치·중요성’을 가리킵니다.
결론
‘정의뜻’은 상황에 따라 도덕·사회적 가치, 용어 규정, 사전적 의미라는 세 갈래로 쓰입니다. 맥락을 구분해 사용해야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현대까지 정의는 평등과 형평의 기준으로 기능하며, 논리학에서는 정확한 사고의 출발점이 됩니다.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선 원칙과 맥락 두 측면 모두를 이해해야겠죠. 그럼 여기까지 정의뜻을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