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근거라는 단어의 의미입니다. 일상 대화나 보고서를 작성할 때 흔히 ‘근거를 제시하라’는 말을 듣곤 합니다. 하지만 막상 근거의 정확한 뜻을 물어보면 선뜻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논리적 글쓰기나 토론에서 필수인 만큼, 올바른 이해가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근거의 사전적 정의부터 실제 사용 예시, 자주 받는 질문까지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 그럼 우선 근거의 기본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래
근거(根據)는 ‘뿌리 근’ 자와 ‘의거할 거’ 자를 씁니다. 어원을 살펴보면 ‘뿌리를 두다’라는 개념에서 출발해 어떤 주장이나 현상이 의지하는 바탕을 가리킵니다.
철학에서는 ‘어떤 명제‧판단이 성립하기 위해 요구되는 이유’로, 불교에서는 ‘소의(所依)’라는 의미로 쓰여 맥락마다 조금씩 달라집니다.
뜻
국립국어원과 주요 사전을 종합하면 근거의 핵심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어떤 주장‧판단을 뒷받침하는 이유나 증거
- 존재‧현상이 성립하도록 해주는 바탕이나 원인
- (바둑) 돌이 살기 위해 확보해야 하는 영역의 넓이
해석 예시
- “이 연구는 최근 통계 자료를 근거로 작성되었다.” → 주장 뒷받침
- “철학이 과학에 근거한다.” → 과학을 바탕으로 성립
- “백 돌은 하변에 근거가 부족하다.” → 바둑 용어
QnA
‘근거하다’는 표현이 맞나요?
표준국어대사전엔 등재되어 있어 쓰일 수 있으나, ‘근거를 두다’가 더 자연스럽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근거와 증거의 차이는?
증거는 사실 여부를 밝히는 객관적 자료이고, 근거는 주장‧판단을 뒷받침하는 이유 전체를 아우릅니다.
바둑에서의 근거는?
돌이 살기 위한 집‧안정 공간을 뜻합니다.
‘근기’라는 말은 표준어인가요?
아니요. 기업·관공서에서 쓰이지만 국어사전에 없는 비표준어로 ‘근거’ 등으로 순화합니다.
근거 제시 방법은?
자료 출처 명시 → 사실·통계 인용 → 논리 연결 순으로 제시하면 설득력이 높아집니다.
법률 문서에서 근거 조항이란?
특정 행위·판단을 정당화하는 법령 조항을 뜻합니다.
영어로 근거는?
주로 basis, grounds, rationale 등을 사용합니다.
근거 없는 소문 처벌 가능?
명예훼손·모욕 등이 성립하면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논문 근거 인용 규칙은?
APA·MLA 등 학술 스타일에 따라 출처·쪽수·연도가 필수입니다.
근거가 부족한 주장 판별법?
검증 가능한 데이터·전문가 견해·반례 여부를 확인하세요.
결론
지금까지 근거의 어원과 다양한 의미, 실제 활용 사례, 자주 묻는 질문까지 살펴봤습니다. 핵심은 ‘주장이나 현상을 지탱하는 바탕’이라는 점입니다. 글쓰기나 발표에서 근거를 명확히 제시하면 설득력과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모호한 비표준어 대신 정확한 표현을 쓰는 습관도 중요합니다. 그럼 여기까지 근거 뜻을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