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최근 한미 통상 협상에서 등장한 MASGA라는 단어입니다.
2025년 트럼프 행정부와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 한국 정부가 제시한 전략적 브랜드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특히 빨간 모자 하나로 미국을 설득해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데 성공한 비밀 무기였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단순한 줄임말을 넘어서 한국의 조선업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외교적 성과를 이룬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그럼 우선 MASGA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래
MASGA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선거 구호인 MAGA(Make America Great Again)를 변형한 표현입니다.
2025년 미국이 8월 1일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못 박고 자동차 관세 인상 가능성을 시사하자, 한국 정부가 전략적으로 만들어낸 외교 브랜드입니다.
한국 정부는 6월 초부터 챗GPT를 활용해 트럼프의 취향을 고려한 빨간 모자를 디자인했고, 동대문 시장에서 제작해 워싱턴으로 보냈습니다.
이 모자를 본 미국 장관이 'Great Idea!(좋은 아이디어군요!)'라며 함박웃음을 지으며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고 전해집니다.
뜻
MASGA는 'Make America Shipbuilding Great Again'의 줄임말로,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뜻입니다.
단순한 산업 협력 수준을 넘어, 한국 정부가 조선 강국의 위상을 활용해 통상 협상을 주도한 전략적 외교 브랜드로 자리 잡았습니다.
한국이 기술·자본·금융을 들고 와서 미국 조선업 부흥을 돕겠다는 메시지를 한국식으로 포장해 미국에 역제안한 것입니다.
총 1,500억 달러 규모로 추진되는 프로젝트로, 미국 내 조선소 신·증설, 숙련 인력 양성, 기술 이전, 공급망 공동 구축 등을 골자로 합니다.
해석 예시
MASGA가 사용되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QnA
MASGA 프로젝트 규모는 얼마나 되나요?
총 1,500억 달러(약 208조 원) 규모로 추진되는 대규모 프로젝트입니다.
어떤 한국 기업들이 참여하나요?
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조선 빅3가 전담 TF를 구성해 참여하고 있습니다.
실제 성과가 있었나요?
HD현대중공업이 미국 해군 수송함 정비 계약을 수주하며 첫 성과를 냈습니다.
관세 인하 효과는 어느 정도였나요?
원래 25%였던 관세가 15%로 10%p 인하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왜 조선업에 집중했나요?
미국은 조선업이 뒤처져 있어 한국의 도움이 절실했고, 한국은 세계적인 조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존스법과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미국의 배는 미국에서만 만들어져야 한다는 존스법 때문에 한화오션이 필리조선소를 인수해 현지 생산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트럼프가 좋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자신의 MAGA 슬로건을 변형한 창의적 접근과 미국 조선업 부흥이라는 실익이 맞아떨어졌기 때문입니다.
중국과는 어떤 관계인가요?
미국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의 조선 기술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나온 전략입니다.
한국에는 어떤 이익이 있나요?
미국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 조선업 수출 기회를 확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전망은 어떤가요?
한미 상생 협력 모델의 대표 사례로 평가받으며 향후 다른 산업 분야로도 확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
MASGA는 단순한 줄임말을 넘어 한국 외교의 창의성과 전략적 사고를 보여준 상징적 브랜드입니다.
트럼프의 MAGA를 영리하게 변형해 미국 조선업 부흥이라는 실익과 한국의 기술력을 연결한 윈-윈 전략이었습니다.
208조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로 한국 조선업계에게는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고, 미국에게는 뒤처진 조선업 경쟁력 회복의 기회가 되었습니다.
빨간 모자 하나로 관세 협상을 성공시킨 창의적 외교의 대표 사례로 기록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여기까지 MASGA의 뜻을 알아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