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24절기 중 하나인 처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매년 8월 하순이 되면 '처서가 지나야 더위가 꺾인다'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특히 올해처럼 무더위가 길어질 때면 더욱 간절하게 기다리게 되는 시기가 바로 처서인데요.
하지만 정작 처서가 무엇인지, 왜 이 시기에 더위가 꺾인다고 하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지 못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처서의 한자 뜻부터 시작해서 우리 조상들이 이 절기를 어떻게 받아들였는지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최근에는 '처서매직'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할 정도로 처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럼 우선 처서의 유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래
처서는 중국에서 시작된 24절기 체계의 일부로, 우리나라에 전해진 전통적인 시간 개념입니다.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1년을 24개 구간으로 나눈 것으로, 농업이 중심이었던 과거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처서는 이 중에서도 14번째 절기에 해당하며, 가을의 두 번째 절기로 분류됩니다. 입추가 지났지만 여전히 더운 날씨가 계속되다가, 처서가 되면 본격적으로 가을 기운을 느낄 수 있다고 여겨졌습니다.
뜻
처서의 한자를 자세히 살펴보면 그 의미를 명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처(處)는 '머물다', '그치다'라는 뜻이고, 서(暑)는 '더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처서는 글자 그대로 '더위가 그치는 시기'라는 뜻입니다. 이는 여름의 무더위가 절정을 지나 점차 수그러들기 시작하는 때를 나타내는 절기명인 것입니다.
시기적으로는 양력 8월 22일~23일경, 음력으로는 7월 중순경에 해당하며,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이 150도에 도달하는 시점을 말합니다.
예시
처서와 관련된 다양한 표현들을 통해 그 의미를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QnA
처서는 언제인가요?
양력으로는 8월 22일~23일경, 음력으로는 7월 중순경입니다. 2025년 처서는 8월 22일입니다.
처서가 지나면 정말 더위가 꺾이나요?
통계적으로 처서 전후로 평균기온이 2-3도 떨어지는 패턴을 보입니다. 최근 10년 중 7번이 처서 이후 기온이 하락했습니다.
처서는 24절기 중 몇 번째인가요?
24절기 중 14번째 절기이며, 가을의 두 번째 절기에 해당합니다.
처서의 한자 의미는 무엇인가요?
처(處)는 '그치다', 서(暑)는 '더위'라는 뜻으로, '더위가 그친다'는 의미입니다.
처서와 관련된 풍습은 무엇이 있나요?
벌초, 포쇄(옷이나 책을 햇볕에 말리기), 호미씻이 등이 있습니다.
처서매직이란 무엇인가요?
처서가 지나면 마법처럼 더위가 사라진다는 의미로 최근에 생긴 신조어입니다.
처서 이후에도 더울 수 있나요?
네, 늦더위나 폭염이 지속될 경우 처서 이후에도 무더울 수 있습니다.
처서와 입추의 차이점은?
입추는 가을의 시작을 알리지만 여전히 더우며, 처서는 실제로 더위가 꺾이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처서와 농업의 관계는?
곡식이 여무는 시기로 농사에 중요하며, 이때 비가 오면 흉작을 걱정했습니다.
처서의 기후 특징은?
낮 기온이 내려가고, 아침저녁이 서늘해지며, 습도가 줄어들고 하늘이 맑아집니다.
결론
처서는 단순히 달력상의 날짜가 아니라, 우리 조상들이 자연의 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하며 만들어낸 지혜의 산물입니다. '더위가 그친다'는 한자 의미 그대로, 이 시기를 기점으로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선선한 가을 기운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최근 기상청 데이터를 보면 실제로 처서 전후로 평균 기온이 떨어지는 패턴을 확인할 수 있어, '처서매직'이라는 표현이 과학적 근거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기후변화로 인해 과거보다 처서의 기온이 전반적으로 상승한 것도 사실입니다.
더위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처서는 여전히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아무리 무더운 여름이라도 언젠가는 끝이 있고, 시원한 가을이 다가온다는 자연의 약속 같은 존재가 바로 처서입니다.
그럼 여기까지 처서의 뜻을 알아봤습니다.